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복궁 문경전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옥련정
벽화실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청와대 녹지원춘안당융문당
칠궁양정재수궁(구 관저터)융무당태화궁
지희실경농재(관풍루)대유헌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청와대 춘추관
마장관가문희맹공신단
금화문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금위군직소춘화문춘생문
신무문수문계무문광무문춘도문수문
태원전수문장청팔우정 집옥재 협길당각감청건청궁 관문각서녹산
남여고 육우정
직처소어구동녹산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선원전 경안당
종각가회정 보현당장고통화당순화궁 외소주방
순화궁 내소주방
영선문진전 소주방진전 생물방화락당나인처소
회안전문경전장고
숙설소
향원정
전기등소
만화당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대향당
정훈당
나인처소
함화당 집경당영훈당만경전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원역처소빈궁 수랏간다경합건복합
원역처소
제관방
흥복전중궁전
침방,수방
대왕대비전
침방,수방
제수합영보당벽월당(상궁처소)
하향정원역처소(접견소)장방(기무처)아미산자미당자경전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국별장직소함원전함홍각건순각원길헌인지당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벽하당(상궁처소)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경회루흠경각교태전임향당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계응당(상궁처소)
양의문복회당(대전 생물방)보월당(상궁처소)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무겸직소응지당강녕전연길당
북위장직소경성전연생전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수문파수각향오문
영추문수문장청내각(규장각)검서청(규장각)대전장방(내시부)습회당협오당장원당천추전사정전만춘전자선당비현각장방 삼처관리소
수문장청
건춘문
초관직소장무관직소입심억석(내의원)주원(사옹원)수정전사정문오상방원역처소세자궁 수랏간등촉방장방
훈국군번직소침의청(내의원)약방(내의원)내반원(내시부)수정문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ㅏ
통장청문기수청춘방별감방초관처소
서소위장직소의약청(내의원)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대전 수랏간영화문계조당계방훈국군번처소
누국당후(승정원)정원(승정원)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선전관청빈청숭양문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별군직청
춘방책고대청
주차장
상의원 면복각
영제교
신당덕응방북마랑흥례문
전사청국립고궁박물관
연고 내사복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용성문어도협생문계방
행각
오위도총부
우마랑좌마랑내구연지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서소부장청
남소위장청
동소부장청
동소위장청
견마배청남마랑군사방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충장장청
수장장청
서십자각수문광화문
(월대)
수문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경복궁 문경전
景福宮 文慶殿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1867년 (창건) / 1904년 (철훼)

파일:external/image.donga.com/-19057_0.20271100.jpg
창덕궁으로 이건된 현재의 문경전 건물
1. 개요
2. 용도
3. 역사
4. 구조



1. 개요[편집]


경복궁의 건물이다. 경복궁의 서북쪽 태원전의 남동쪽에 있었다.


2. 용도[편집]


혼전(魂殿)이다. 혼전은 왕비, 대비가 죽은 후 3년상이 끝날 때까지 신주을 모시던 곳이다. 혼전은 국상 때 잠깐 사용하는 용도였기에 건물을 따로 짓지 않고, 편전이나 침전의 일부 건물을 활용했다. 그러다 1860년대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아예 혼전 전용 건물을 따로 지었고 임금의 생전에 왕비가 죽은 경우에는 신주를 기존에 모시던 곳에 계속 두고 있다가 임금이 죽은 다음에야 종묘에 봉안할 수 있었기 때문에 줄초상에 대비하기 위해 2개의 혼전을 지었고 서쪽에 희안전(會安殿)이, 동쪽에 문경전(文慶殿)이 위치했다.


3. 역사[편집]


임진왜란 이전에는 없었다. 1860년대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처음 지었다. 지어진 이후 1890년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장례와 1895년 왕비인 명성황후의 장례때 사용되었고 명성황후의 신주를 경운궁의 경소전으로 이건한뒤 비웠다가 1903년명헌태후의 사망으로 문경전 서쪽의 희안전을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으로 옮겨 혼전으로 사용했고 1904년(광무 8년)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의 첫 번째 아내 순명효황후 민씨가 사망하자 문경전을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으로 옮겨 지어 혼전으로 사용했다.

보통 혼전이 되면서 생긴 이름은 상례가 끝나면 사라지고 원래 이름대로 돌아가나 순명효황후는 순종보다 먼저 죽었기 때문에 계속 신주를 의효전에 모시면서 그대로 이름이 굳어졌다. 1919년 고종승하 후 1920년 경에 일제가 현재의 창덕궁 신선원전 자리로 옮겼다. 즉, 경복궁, 경운궁, 창덕궁 3궁이나 거친 수난을 겪은(...) 건물. 1926년 순종이 승하하고 2년 뒤인 1928년 종묘에 부묘되면서 순명효황후의 위패 역시 종묘로 가게 되어 그제서야 의효전의 현판을 내렸다. 이후 잊히면서 한동안은 이름마저 '의전(懿殿)'으로 잘못 알려졌다. '효(孝)'를 비슷한 모양의 '로(老)'로 오독한 것. 2007년에 와서야 문헌 조사를 통해 정확한 실체를 확인했다. 의효전 현판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005년 태원전 복원공사때 터를 확인해 정비해 두었고 건물이 이건 되었긴해도 모습을 확인이 가능해서 2031~42년에 걸쳐 진행할 〈경복궁 2차 복원 정비 사업 - 4단계 궁중의례권역 복원 계획〉때 복원될 예정이다.


4. 구조[편집]


원래는 사방을 행각이 둘러싸고 앞,뒤로 복도각이 있는 구조이나 창덕궁으로 이건된뒤 행각은 번형되었고 현재의 본채의 구조는 기단 3벌대를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으며 정면(남면)으로 나름 넓은 월대를 두었는데 기단보다는 조금 낮고 월대 앞에 2칸 반짜리 소맷돌 없는 계단을 3세트 씩 놓고 좌, 우 양 측면에도 같은 계단을 각각 하나씩 놓았다. 정, 측면 각각 3칸 총 9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에 처마는 겹처마로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6개의 잡상을 올렸다. 창호는 전부 정(井)자 살이며 중방과 교창 없이 과 상방이 바로 붙어있다. 내부는 한 칸으로 통해 있다.